의외로 헷갈리는 문장이 있습니다. 무엇 무엇을 하는 계기가 되다와 개기가 되다 입니다. 어떤게 맞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계기가 되다가 맞습니다. 한번 그 의미를 들여다 보는 간략한 포스팅을 합니다.
계기가 되다 (O)
개기가 되다 (X)
국어사전에서 계기는 "어떤 일이 일어나거나 변화하도록 만드는 결정적인 원인이나 기회."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명사적 정의가 있는 단어 입니다. 이는 한자에 따라 여라가지 뜻이 있을 수 있는데 어떤 정황이나 결심 환경 등의 계기가 되는 것은 이런 명사적 의미하에 계기가 되다로 표현 하는 것이 맞습니다.
계기가 되다는 어떤 배경 혹은 경험 등에 의해 변화하고 발전한다는 의미가 내포 되어 있습니다. 즉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때 쓰는 표현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거의 부정적 의미로 사용하는 사례는 본 적이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또는 좋은 영향을 받게 된 원인 요소 등을 문장으로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 날 이런 일이 있었던 이후로 나는 책을 열심히 읽게 된 계기가 되었다."와 같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말하는 계기는 한자로 契機 이렇게 쓰며, 원인과 기회가 내포되어 있고 또한 발전 변화 이러한 말과도 잘 연결되는 명사 입니다.
참고로 개기라는 단어도 여러가지 한자어로 있는 명사 입니다. 예를 들어, 개기일식 이런 단어를 쓸 때는 개기 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우리말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을 쇠다 세다 쉬다 맞는 맟춤법은? (0) | 2024.04.23 |
---|---|
개선하다 여러가지 뜻 (2) | 2024.02.06 |
시냇물에 발을 담그다 담구다 무엇이 맞을까요? (0) | 2024.02.01 |
간절하다 절박하다 차이는? (2) | 2024.01.23 |
내노라하다 내로라하다 맞는 맞는 맞춤법은? (0) | 2024.01.18 |
틈틈이 틈틈히 공부하다 무엇이 맞을까요? (2) | 2024.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