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빼기 곱배기 무엇이 맞을까요? 곱빼기 곱배기 무엇이 맞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곱빼기가 맞습니다. 의외로 많이 틀리는 단어입니다. 특히 약한 발음이 버릇이 되어 있는 분들이 많이 틀립니다. 곱빼기(O) 곱배기(X) 사전적의미와 활용 예문을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1. 곱빼기의 사전적 의미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곱빼기는 명사로 음식에서 두 그릇의 몫을 한 그릇에 담는 분량, 계속하여 두번 거듭나는 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곱빼기의 빼기는 그런 특성이 있는 사람이나 물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입니다. (국립국어원온라인가나다) 2. 곱빼기의 활용 예문 공사장에서 열심히 일한 인부들은 너무 배가 고파서 짬뽕을 꼽빼기로 먹었다. 이상하게 나는 중국집에 식사하러 가면 모든 음식을 곱빼기로 시키는 경향이 있다. 괜히 도와 줄려고 했다가 야단.. 우리말바로알기 2023. 10. 24. 희한하다 희안하다 맞는 말은? 늘 헷갈리는 형용사 희한하다 희안하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무엇이 맞을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희한하다가 맞습니다. 아마 저도 이 말 쓸 때나 말할 때 많이 틀렸던 것 같습니다. 사전적의미와 활용예시를 알아보겠습니다. 제대로 알고 잊지 말아야 겠습니다. 1. 희한하다의 사전적 의미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매우 드물거나 신기하다 로 정의 합니다. 희안하다는 희한하다의 비표준어 입니다. 희한하다(O) 희안하다(X) 2. 희한하다의 활용과 예문 살다 별 희한한 사람 다보겠네. 우리 부서에 지금 희한한 소문이 돌고 있는거 아세요? 의외로 이런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니 희한하다. 운동할 시간이 없어 대낮에 놀이터에서 운동을 하니 사람들이 희한하게 쳐다보았다. 3. 참고사항 희한은 희한하다의 어근으로 한자로 드믈.. 우리말바로알기 2023. 10. 20. 웃통 윗통을 벗다. 무엇이 맞을까요? 오랜만에 우리말 포스팅 합니다. 의외로 헷갈리는 웃통을 벗다 윗통을 벗다 중 맞는 표현은 무엇을 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웃통을 벗다가 맞습니다. 위 아래 대립 개념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웃통의 사전적 정의와 활용예문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웃통의 사전적의미 1) 명사 : 몸에서 허리 위의 부분. (표준국어대사전) 2) 명사 : 윗옷(위에 입는 옷) (표준국어대사전) 3) 명사 : 윗몸에 입는 옷 (고려한국어대사전) 2. 활용예문 1) 오늘날씨가 너무 더워서인지 공원에서 웃통을 벗고 축구를 하는 사람들이 보인다. 2) 웃통을 벗고 냉수마찰을 하는 것이 심신을 단련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3) 아이들이 웃통만 벗어던지고 냇가로 뛰어들었다. 4) 웃통을 벗고 등목.. 우리말바로알기 2020. 4. 29. 붙이다 부치다 구별해서 사용하기 붙이다와 부치다는 문장의 표현의 상황에 따라 잘 구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두 단어의활용이 정말 헷갈립니다. 내용 정리해 보겠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붙이다를 써야 할 곳이 좀 더헷갈리는 경향이 있어 금번 포스팅을 통해 명확히 익혀보기로 했습니다. 1. 사전적 의미 1) 붙이다.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아래와 같이 정의 되어 있습니다. 즉, 붙다의 사동사 입니다. 가. ‘붙다(1. 맞닿아 떨어지지 아니하다)’의 사동사. 나. ‘붙다(3. 불이 옮아 타기 시작하다)’의 사동사. 다. ‘붙다(6. 조건, 이유, 구실 따위가 따르다)’의 사동사. 2) 부치다.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아래와 같이 정의 되어 있습니다. 가. 편지나 물건 따위를 일정한 수단이나 방법을 써서 상대에게로 보내다. 나. 어떤 문제를 다른 곳이나 다른 .. 우리말바로알기 2020. 1. 15. 얄팍하다 얇팍하다. 맞는 표현은? 두께가 얄팍하다와 얇팍하다 무엇이 맞을까요? 정말 잘 틀리는 맞춤법입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얄팍하다가 맞습니다. 1. 얄팍하다의 사전적 의미 표준국어 대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1) 두께가 조금 얇다. 2) 생각이 깊이가 없고 속이 빤히 들여다보이다. 한글 맞춤법 4장 3절 21항에 의하면 ‘얄팍하다’는 ‘얇다’와 관련이 있지만, 소리가 [얄파카다]로 굳어졌으므로 소리대로 ‘얄팍하다’로 적는다. ‘얄팍하다’의 의미로 ‘얄쌍하다’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얄팍하다’만 표준어로 삼는다. 로 설명 하고 있습니다. 경남 사투리로 얍삭하다도 많이 쓰이는데 얄팍하다가 맞는 표현 입니다. 2. 활용 예문 1) 너무 추워서 둘러봤는데 그게 현관문 두께가 얄팍하다 2) 저 친구는 자기 주장만 강했지.. 우리말바로알기 2019. 12. 19. 꿰매다 꿰메다 맞는 맞춤법은? 꿰매다 꿰메다 무엇이 맞을까요? 은근 헷갈리는 동사 입니다. 정답은 꿰매다 입니다. 또한꼬매다라고도 쓰는 경우가 있는데 있도한 잘못된 맞춤법입니다. 사전적의미와 활용 예문을소개해 드려 보겠습니다. 1. 꿰매다의 사전적 의미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꿰매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1) 옷 따위의 해지거나 뚫어진 데를 바늘로 깁거나 얽어매다. 2) 어지럽게 벌어진 일을 매만져 탈이 없게 하다. 2. 활용 예문 1) 구멍 난 양말을 꿰매 달라고 아내에게 몇 번 얘기했는데 사서 신으라고 하네요. 2) 항상 어머님은 제 바지가 해질 때마다 꿰매어 주셨습니다. 3) 오늘까지 이 현수막을 꿰매지 못하면 내일 공연에 차질이 생깁니다. 4) 너무 많이 틀어져 있는 지금 이 프로젝트를 다시 꿰매어 방향을 잡아야 합니다. 5).. 우리말바로알기 2019. 12. 5. 배멀미 뱃멀미 맞춤법 제대로 알기 배멀미와 뱃멀이 맞춤법 무엇이 맞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뱃멀미가 맞습니다. 그동안그것도 아주 오랫동안 저는 틀려왔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가요? 결론이 너무 간단해서 포스팅하기도 망설여지지만 너무나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단어라간략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왜 뱃멀미가 맞느냐의 해석은 순우리말 합성어로 뒤 글자의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나기 때문에사이시옷을 넣어서 표기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사전적 의미와 활용예문을 살펴보겠습니다. 1. 뱃멀미의 사전적 의미표준국어 대사전에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 되고 있습니다."배를 탔을 때 어지럽고 메스꺼워 구역질이 나는 일. 또는 그런 증세." 비슷한말로 선취, 수질 등이 있습니다. 2. 활용 예문 1) 울진에서 통통배를 타고 낙시 하던 중 뱃멀미가 나서 도저.. 우리말바로알기 2019. 11. 26. 이전 1 2 3 4 5 6 다음